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카카오프로젝트100
- 다크웹
- python
- numpy
- 보안뉴스한줄요약
- 파이썬
- 보안뉴스요약
- 자바스크립트 객체
- Oracle SQL
- 자바스크립트 prototype
- 보안뉴스 한줄요약
- 랜섬웨어
- GIT
- 오라클
- oracle
- 자바스크립트 element api
- ES6
- 자바스크립트 기본 문법
- 자바스크립트 API
- php
- oracle db
- 카카오프로젝트 100
- 자바스크립트 jQuery
- javascript
- 보안뉴스 요약
- 보안뉴스
- 카카오프로젝트
- 자바스크립트 node
- 자바스크립트
- 깃허브
- Today
- Total
FU11M00N
[OSINT] Sherlock 쉽게 사용해보기 본문
Sherlock?
Sherlock은 유저명을 이용한 OSINT 툴입니다.
잘 알려진 사이트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사이트에서는 유저이름을 검색하여 프로필을 통해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작업을 하나하나 수동으로 하기엔 불편하기 때문에 Sherlock 이란 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herlock 툴에 유저명을 주면 페이스트빈 이나,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해당 유저명을 가진 프로필이 존재하는지 살펴줍니다.
https://github.com/sherlock-project/sherlock에 sherlock 의 자세한 설명과 코드를 볼수있습니다.
Sherlock 실습

“git clone https://github.com/sherlock-project/sherlock” 명령어를 입력하여 sherlock을 다운로드합니다.

“python3 -m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명령어를 입력하여 Sherlock을 사용할 때 필요한 Python 모듈들을 설치해줍니다.

“python3 sherlock -h” 명령어를 입력하면 sherlock에서 제공하는 옵션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ython3 sherlock (user_name)”의 명령어를 수행하면 user_name와 관련된 사이트들이 출력됩니다.
해당 사이트 서버에서 응답 값이 오면 출력하는 것 이기 때문에 모르는 사이트 혹은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담긴 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습니다.
'Penetration testing > Information colle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Nmap]Nmap NSE의 이해 및 스크립트 실습 (0) | 2020.11.01 |
---|---|
[Nmap] Nmap 옵션 및 활용 (2) | 2020.11.01 |
[OSINT] 정보수집단계의 필수 OSINT (0) | 2020.10.26 |
[OSINT] Maltego 간단 실습 (0) | 2020.10.24 |
[OSINT] Maltego 설명 및 설치방법. (0) | 2020.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