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보안뉴스
- 깃허브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API
- 자바스크립트 jQuery
- numpy
- 파이썬
- python
- oracle db
- php
- Oracle SQL
- 자바스크립트 element api
- GIT
- 카카오프로젝트
- 보안뉴스요약
- 자바스크립트 prototype
- 보안뉴스한줄요약
- 보안뉴스 요약
- 랜섬웨어
- 오라클
- 자바스크립트 객체
- oracle
- 카카오프로젝트 100
- 다크웹
- 자바스크립트 기본 문법
- ES6
- 자바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 node
- 카카오프로젝트100
- 보안뉴스 한줄요약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오페라 (1)
FU11M00N

사용자가 들여다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 거짓 정보를 띄우도록 해 주는 취약점은 각종 소프트웨어에서도 끊임없이 나 옴. 브라우저들마다 취약점이 따로 존재함. 결국에는, CWE-451이라는 커다란 항목 안에 공통적으로 포함이 될 수있다. CWE-45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중요 정보 불실 표시(User Interface Misrepresentation of Critical Information)’라고 알려져 있다. CWE-451에 속하는 취약점을 공략할 경우 진짜와 똑같아 보이는 악성 웹 페이지로 피해자를 유도할 수 있다. 라피드7에 의하면 이번에 공개된 취약점들 전부 이러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문제의 근원은 자바스크립트 속이기가 가능. 이러한 취약점이 발견된 모바일 브라우저는 다음과 같다...
보안뉴스 읽기
2020. 10. 23. 1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