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깃허브
- 보안뉴스요약
- oracle
- 카카오프로젝트
- 파이썬
- Oracle SQL
- numpy
- 보안뉴스 한줄요약
- 보안뉴스
- ES6
- GIT
- 자바스크립트 API
- 보안뉴스 요약
- 자바스크립트 jQuery
- 자바스크립트 element api
- javascript
- 보안뉴스한줄요약
- 카카오프로젝트 100
- 자바스크립트 객체
- 자바스크립트
- php
- oracle db
- 랜섬웨어
- 카카오프로젝트100
- 자바스크립트 prototype
- python
- 자바스크립트 node
- 오라클
- 자바스크립트 기본 문법
- 다크웹
Archives
- Today
- Total
FU11M00N
[ 보안뉴스 요약 ]늘어난 최상위 도메인, 효과는 미비한데 보안 위험성은 높였다 본문

인터넷의 최상위 도메인(TLD)이 보안의 가장 큰 보안 ‘골칫거리’ 일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제기한 연구 결과가 발표됨.
여기서 최상위 도메인은 .com ,. net,. org와 각종 국가코드 (. kr , uk, za 등)을 말함.
최상위 도메인이 증가했을때 보안의 측면에서는 공격자들이 피싱, 사이버 스쿼팅 등의 악성 행위를 하기 위한 사전 스푸핑 작업의 재료가 늘었다는 뜻이 됨.
즉 인기높은 브랜드의 도메인 이름을 공격자들이 미리 등록하는 행위가 더 쉬워진다는 것.
www.boannews.com/media/view.asp?idx=97175
늘어난 최상위 도메인, 효과는 미비한데 보안 위험성은 높였다
인터넷의 최상위 도메인(TLD)이 보안의 가장 큰 보안 ‘골칫거리’일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제기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는 보안 업체 파사이트 시큐리티(Farsight Security)가 발표한 보고서의
www.boannews.com
'보안뉴스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보안뉴스 요약 ]채용시장 활기 노렸나? 입사지원서 위장 랜섬웨어, 메일로 유포 (0) | 2021.05.05 |
|---|---|
| [ 보안뉴스 요약 ]액티브 디렉토리 10년 연구했더니, 선제적 대처와 다중인증이 핵심 (0) | 2021.05.04 |
| [ 보안뉴스 요약 ] 미국 대학 연구원들, 스펙터의 변종 취약점 3가지 추가로 발견 (0) | 2021.05.04 |
| [ 보안뉴스 요약 ] 현 시점 보안 업계가 직시해야 하는 ‘진짜 현실’ 7가지 (0) | 2021.05.03 |
| [ 보안뉴스 요약 ] 차세대 보안리더 양성 프로그램 ‘BoB’ 10기 모집 (0) | 2021.05.0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