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바스크립트 element api
- 보안뉴스요약
- 깃허브
- 카카오프로젝트100
- ES6
- 카카오프로젝트 100
- 카카오프로젝트
- 보안뉴스
- Oracle SQL
- 오라클
- 자바스크립트 기본 문법
- oracle db
- 자바스크립트 jQuery
- javascript
- 파이썬
- 랜섬웨어
- 보안뉴스 요약
- 자바스크립트 API
- 다크웹
- oracle
- python
- GIT
- 자바스크립트 node
- numpy
- 자바스크립트 객체
- 보안뉴스한줄요약
- 자바스크립트
- 보안뉴스 한줄요약
- 자바스크립트 prototype
- php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07)
FU11M00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6reAB/btqXHfT0jGB/jKqcRE8RZLh5xKdgsAreqK/img.png)
이 포스팅은 구름 에듀 강좌 나동빈 선생님 강의 "Git으로 시작하는 협업 및 오픈소스 프로젝트" 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edu.goorm.io/learn/lecture/11528/git으로-시작하는-협업-및-오픈소스-프로젝트/info 구름EDU - 모두를 위한 맞춤형 IT교육 구름EDU는 모두를 위한 맞춤형 IT교육 플랫폼입니다. 개인/학교/기업 및 기관 별 최적화된 IT교육 솔루션을 경험해보세요. 기초부터 실무 프로그래밍 교육, 전국 초중고/대학교 온라인 강의, 기업/ edu.goorm.io - 오픈 소스란? - 공개된 소스코드 - 무료 - 예시 ;) 부트스트랩 이러한 오픈 소스들을 깃 허브에서는 매우 다양하고 방대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소스들을 클론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부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ohNn/btqXFglmzkG/KSD3stYcK0S1t4K8qorK9k/img.png)
이 포스팅은 구름 에듀 강좌 나동빈님의 강의 "Git으로 시작하는 협업 및 오픈소스 프로젝트" 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edu.goorm.io/learn/lecture/11528/git으로-시작하는-협업-및-오픈소스-프로젝트/info 구름EDU - 모두를 위한 맞춤형 IT교육 구름EDU는 모두를 위한 맞춤형 IT교육 플랫폼입니다. 개인/학교/기업 및 기관 별 최적화된 IT교육 솔루션을 경험해보세요. 기초부터 실무 프로그래밍 교육, 전국 초중고/대학교 온라인 강의, 기업/ edu.goorm.io - 분산형 협업 도구 Git - 특정한 프로젝트를 동시의 작업 할 수있습니다. - 동일한 소스코드를 효과적으로 관리 할수있습니다. - 충돌을 방지할 수있습니다. - Github - 파일을 올리고 관리할 수 있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af6F/btqXwcQgoQx/UjE6Bfq2lCOFwQMoaDM0s0/img.jpg)
- 기존의 기본 매개변수 함수의 매개변수는 기본값이 undefined 입니다. function fun(test){ var test = test || "fu11_m00n"; console.log(test); } fun(); fun(null); fun(false); 원래는 위의 예제처럼 처리를 했었습니다. - ES6 기본 매개변수 const color='red'; function defaultTest(defaultColor=color){ console.log(defaultColor); } defaultTest(undefined); 하지만 ES6에서는 인자가 넘어오지 않을때의 기본 값을 설정할 수있습니다. 주의해야할 것은 기존방법은 undefined뿐만아니라 null,false,0,공백 일때에도 적용이 되었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znEt/btqXxeNLgPf/gwNIkOAkOSYaHxwGybmGW1/img.jpg)
- 즉시 실행 함수를 쓰는 이유 첫 로드 시 초기화 할 때 변수를 global하게 선언하고 싶지 않고싶을때 변수에 함수를 이용해 즉시 값을 할당하고 싶을 때 라이브러리 전역 변수 충돌 방지를 원할때 (function(version){ console.log(version) }("ES5")); ((version)=>{ console.log(version) })("ES6"); ES6에서는 익명함수에서는 function 키워드 대신 괄호와 화살표를 사용합니다. 콜백 함수로 실행될 때 기존의 익명 함수는 글로벌 컨텍스트에 접근했지만, 화살표 함수는 콜백 함수를 할당한 당시의 컨텍스트를 그대로 활용합니다. 즉시실행 함수를 사용할 때는 , 괄호로 묶고 함수를 호출해야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2y4m/btqXb2IvRrl/KkqCHMEL0AOkzEepfIG2sk/img.jpg)
- ES6 화살표 함수 아래와 같은 형태로 화살표 함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 } 소괄호와 화살표를 사용하여 function 키워드 없이 함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대신 화살표가 생겼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const func = () => { console.log("화살표 함수"); }; func(); const func = () => console.log("arrow function"); func() 화살표 함수 안에 실행문이 하나면, 중괄호도 없앨 수 있습니다. 위와같이도 가능합니다. - this 객체 지향 관점에서 콜백을 정의할 때 더 유연하게 컨텍스트 활용이 가능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 실행에서의 this 는 기본적으로 전역객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3TRj/btqXrDnei1T/lyN6nenWdebo0R6FAsTc60/img.jpg)
기존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지향 구현시 function 이 생성자였습니다. 하지만 function 으로 하다보니 표현력이 떨어지고, 코드가 점점 복잡해져서 ES6부터는 class가 생겨났습니다. 1. class class Study{ constructor(name){ this.name = name; } getName(){ return this.name; } } let study = new Study("풀문"); console.log("study.getName();" + study.getName()); class 키워드를 이용해서 클래스를 정의하고 Study 클래스를 선언했습니다. 생성자 함수는 constructor 라는 이름으로 정의되어있는데, 이는 클래스가 생성될때 기본적으로 호출되는 함수입니다. 클래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qK5e/btqXoayTT17/6SlcpvlhRPvf4hqVBsTAY1/img.jpg)
- 비구조화 할당 왜 쓸까? const book = { korean: "korean", math: "math", english: "english" }; const korean = book.korean; const math = book.math; const english = book.english; console.log(korean); // korean console.log(math); // math console.log(english); // english 만약 배열이나 객체에서 해당 값들을 새로운 변수에 할당 해줘야할때 위와같은 행위를 여러번 해야합니다. 하지만 const { korean, math, english } = { korean: "korean", math: "math", englissh: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h9qa/btqXgpDlj5h/hL6QPSCWYc0UTK1F2hkIAk/img.jpg)
- ES5 템플릿 문자열 표현식 기존의 싱글쿼테이션 ('문자열') 과 더블쿼테이션 ("문자열") 방법을 백틱 문자를 사용해 문자열을 여닫는 것을 템플릿 문자열 표현식이라고 합니다. 백틱 문자는 ` 를 의미합니다. var test = 'test:'+'tt'+'\ntest2:'+'tt2'; console.log(test); ES5에서는 개행문자, 병합등을 이용해 변수나 상수 안에 문자열을 넣어 사용했었습니다. - ES6 템플릿 문자열 표현식 하지만 ES6으로 오면서 백틱 안에 멀티라인 스트링을 입력하여 템플릿 문자열 표현식을 사용해 문자열에 변수도 입력하고 계산식 해석 등 해석이 가능한 것은 다 가능합니다. let test3='tt'; let test4='tt2'; console.log(` test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