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바스크립트 node
- 보안뉴스
- 랜섬웨어
- GIT
- 자바스크립트 jQuery
- 보안뉴스한줄요약
- 보안뉴스요약
- 자바스크립트 element api
- 카카오프로젝트 100
- 보안뉴스 한줄요약
- 파이썬
- 오라클
- Oracle SQL
- 자바스크립트
- 보안뉴스 요약
- oracle
- php
- python
- 자바스크립트 객체
- numpy
- 깃허브
- 다크웹
- 자바스크립트 API
- oracle db
- javascript
- ES6
- 카카오프로젝트100
- 카카오프로젝트
- 자바스크립트 기본 문법
- 자바스크립트 prototype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07)
FU11M00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aLpyq/btqXBV1aKa2/bm1YeK9LYiotoxsYO721Kk/img.jpg)
- let 참조 에러 let test = '1'; if(true){ let test = '2'; console.log(test); }; console.log(test); 코드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결괏값을 출력합니다. let test = '1'; if(true){ console.log(test); let test = '2'; }; console.log(test); 코드를 위와같이 변경하면 위 와 같은 결과가 출력됩니다. 만약 호이스팅이 없었다면 3번째 test 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전역스코프의 값인 1 이 출력되었을겁니다. 하지만 블록스코프 안에 선언된 test(,4번라인 test)가 호이스팅 되어 해당 블록 스코프의 최상단에 test 변수가 선언되게 됩니다. 이때 let은 var와 다르게 변수가 초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KJw6/btqXgpJ4FxK/aSEvpRbzOOH1PCWfZaHm3K/img.jpg)
- Block-scope Block-scope: {}로 감싸진 유효 범위 기존의 var는 function scope레벨 hoisting let 키워드를 사용해 변수의 유효범위를 블록 스코프 처리 1. Scope 변수의 유효범위 입니다. var 의 변수 유효범위 블록 스코프가 아닌 function 스코프입니다. var num = 1; function printNum(){ console.log(num); var num = 2; console.log(num); }; printNum(); //2 function 레벨에서 호이스팅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호이스팅: https://nevertrustbrutus.tistory.com/335 아래는 함수가아닌 블록일 경우의 예제입니다. var te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b5nP/btqXxe1gEnj/YyhLq4LqPBYMgAGV3mkjtK/img.jpg)
- ES 4,5의 해결책 ES4,5시대에는 var키워드로 변수와 상수를 선언했었습니다. 하지만 var를 사용할 경우, 전반적으로 코드가 어떻게 작동될지 직관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hosting 개념. https://nevertrustbrutus.tistory.com/335 그래서 ES6에서는 let과 const를 사용하여 변수와 상수를 선언해야합니다. 변수는 let 선언자, 상수는 const 선언자를 이용하면 됩니다. - let 이번에는 let 선언자를 이용해 선언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let test = 1; console.log(test); let test = 2; console.log(test); let 변수는 var 변수와 다르게 재선언이 되지 않습니다. 2. const ..
- Hosting 변수나 함수의 선언문을 유혀범위의 최상단으로 올려 변수나 함수를 선언하기 이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것입니다. - 변수 Hosting console.log(test); // 결괏값: undefined var test = "FU11_M00N"; console.log(test); // 결괏값: FU11_M00N name이라는 변수가 선언되기 전에 호출하면 에러가 아닌 undefined를 출력합니다. var test; console.log(test); // 결괏값: undefined test = "FU11_M00N"; console.log(test); // 결괏값: FU11_M00N 자바스크립트의 Hoisting 특성은 유효범위의 최상단으로 올리기때문에 위의 예제와 동일한 효과가 발생합..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쿠키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접속할 때 웹 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양의 데이터입니다. 웹 페이지에서는 쿠키를 확인하여 로그인 상태나 장바구니에 상품이 담겨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그 후 웹서버는 쿠키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한 뒤 쿠키가 필요할 때 사용자의 컴퓨터에 요청하고 사용자의 컴퓨터는 저장된 쿠키를 웹서버로 전송합니다. 쿠키는 사용자에게 저장되기 때문에 악의적인 사용자가 쿠키값을 조작, 탈취하여, 사용하게 된다면 보안적으로 취약합니다. 쿠키는 사용자에게 보여줘도 되는 값일 때만 사용하고, 그게 아니라면 세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 세션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보안을 이유로 사용자의 컴퓨터와 웹 서버에 모두 정보를 저장합니다. 웹 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Fqhr/btqW8GqQ8sk/zpsT8x0RafeZ7x4pZGyojK/img.png)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테이블(table)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테이블은 키(key)와 값(value)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이처럼 데이터의 종속성을 관계(relationship)로 표현하는 것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입니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데이터의 분류, 정렬, 탐색 속도가 빠릅니다. 오랫동안 사용된 만큼 신뢰성이 높고, 어떤 상황에서도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해 줍니다. 기존에 작성된 스키마를 수정하기가 어렵습니다.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분석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 join 조인(JOIN) 연산은 두 개의 릴레이션 A와 B에서 공통된 속성을 연결하는 것입니다. 이 와 같은 조인 연산은 하나의 릴레이션으로는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을 경우, 두 개 이상의 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4ix0b/btqW8FFpqJd/AfKR5YLnDjmFrE7ixK0kSK/img.jpg)
생활코딩의 이고잉 님의 강의를 기반으로 개인 공부용으로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 현재 테이블의 값 현재 컬럼이 3개 존재합니다. 이 값을 php파일로 삭제해보겠습니다. - 기능 소개 현재 index.php 파일은 topic의 테이블에있는 컬럼의 "title" 들을 뽑아와 리스트로 출력합니다. 기본적으로 index.php에는 "delete"를 할수있는 링크가 없지만, isset함수를 이용하여 id에 값이있다면 "title" 과 "description"의 값들과 "delete" 링크도 생겨납니다. create나 update의 경우 하이퍼링크를 통해 기능을 구현하도록했었습니다. 하지만 delete의 경우 하이퍼링크로 기능을 구현하게되면, 그 링크를 내가 아닌 누군가가 눌렀을때 삭제가 되는 위험이있습니다. 그러..